깨달음을 얻는데는 나름대로 길이 있어야 하고

거기에는 또한 즐거움이 있어야 한다

<우암 송시열>
========================================

 

 

△ 변화무쌍한 날씨로 눈보라와 강풍이 만나 결혼식 올리더니 갓태어난 뭉개구름이

형봉위를 지나고~~

 

<도락산 스케치>
---------------
상선암~제봉~형봉~신선봉~도락산~신선봉~채운봉~검봉~큰선바위~작은선바위~상선암


산행일자 : 07-03-11

 

 

 바람인 것을 ... /  묵연스님   
  

              다 바람 같은 거야.
              뭘 그렇게 고민하는거니?
              만남의 기쁨이건
              이별의 슬픔이건
              다 한 순간이야.

 

              사랑이 아무리 깊어도
              산들 바람이고
              오해가 아무리 커도
              비바람 이야.

 

              외로움이 아무리 지독해도
              눈보라일 뿐이야.
            
                                                                                    
              폭풍이 아무리 세도
              지난뒤엔 고요하듯
              아무리 지극한 사연도...

              지난뒤엔


              쓸쓸한 바람만 맴돌지.
              다 바람이야.

 

             이 세상에 온 것도
             바람처럼 온다고
             이 육신을 버리는것도 바람처럼
             사라지는 거야.
                                               
             가을 바람 불어 곱게 물든
             잎들을 떨어 뜨리 듯
             덧없는 바람 불어 모든
             사연을 공허하게 하지.

 

             어차피 바람일 뿐 인걸
             굳이 무얼 아파하며...
             번민하리.

 

             결국 잡히지 않는게
             삶인 걸
             애써 무얼 집착하리
             다 바람인거야.

 

             그러나 바람 그 자체는
             늘 신선하지.

             상큼하고 새큼한
             새벽바람 맞으며...
 
            바람처럼 가벼운 걸음으로
            바람처럼 살다 가는게 좋아.

 

상선삼봉 능선 기암괴석과 암릉을 따라 오르다가 만나게 되는 
묘한 느낌을 주는 바위~ 눈을 지긋이 감고 명상을 하는듯 앉아 있다. 

 

바위를 한참동안 바라보니~ 이윽고 바위가 나를 처다보더군요 
이몸 보잘것 없는 <안성산꾼> 입니다. 
오늘 도락산에서 마음의 청소를 좀 하고 가겠습니다.  

 

신선바위 : 안성산꾼! 이리 가까이 와봐! 오늘 당신 일행이 몇 사람이인고? 
               나를 알아 보는 사람이 없었는데~ 
 산꾼은 나를 어떻게 봤지?
 
안성산꾼 : 저야! 뭐 눈이 크고요, 안경까정 끼었으니 보일수 밖에 없죠! 

신선바위 : 등산객들이 나를 잘 알아 보겠끔~ 내 앞에도 표지판좀 붙히면 안되겠~~니? 
 큰선바위, 작은선 바위에는 표지판이 있고, 나는 왜 없냐? 이거여!!

 

안성산꾼 : 단양군청 홈피에 올려 줄까요?  
신선바위: 제발 그렇게 좀 해봐요~ 


안성산꾼 : 얼굴사진 한번 찍어도 됩니까? 
신선바위 :  사진찍을 때, 인물에다 세팅시키고 초점도 잘 잡고~날씨가 오락가락 하니까 잠깐 기다려,,,
                 해가 나올때 까지

 

안성산꾼 : 신선바위님이 붙잡아 두면~오늘 집에도 몬가는데여~ 
신선바위 : 당신은 나하고 코드가 맞는것 같으이~ 

 

에궁!! 오늘은 오래만에 만난 <길상님> 하고 오붓한 시간을 보내야 했는데~~ 모두 올라가고 
아무도 없네요! 

 

 

↓ 천애고송(天涯孤松)

상선상봉 능선을 오름질 하다가 바위위에 뿌리 내리고 사는 소나무를 만난다.
천애고송(天涯孤松) 이다.

 

사람도 바위위에 사는 소나무와 같이~ 이 세상에 태어나, 죽도록 고생만 하다가 가는
사람도 있다.

전쟁터에서 팔다리를 잃은사람, 어릴적 부모와 생이별 하여 ~그리움을 품고 사는
사람, ㅜㅜ

 

질기디 질긴 생명력~ 그 만 할말을 잃고 만다.
산을 만나니~또 다른 깨우침이, 나를 붙들어 맨다.

눈에 보이는 현실에서 희망을 찾아본다.

 

 ↓형봉에서 바라본 용두산


상선암 계곡 건너편에는 용두산이 점잖게 앉아있다.

용두산을 끼고 평화스런 마을이 보인다.


왼쪽마을은 바깥산안이고 오른쪽 마을은 안산안 이란다.

바깥산안으로 올라가는 하얗게 보이는 길이 마치 폭포수 처럼 보인다.


하얀 길을 따라 언제가 한번 걷고 싶다. 마을에는 어떤사람들이 살고 있는지…..

 

↓추운 겨울 고생한 고사목에게 봄단장좀 시켰네요~ㅜㅜ 운치가 좀 남니까?

 

▽도락바다 바위섬에서 ~~표류자 소낭구는~~아마 끝까지 살아남을것 입니다.

 

암봉 꼭대기에 소낭구가 세들어 살고 있다.
수명을 다하고 고사목이 된 소나무...

 

살아있는 소나무 보다, 고사목이 눈에 들어 온다.
모진 풍상의 세월속을 견디다~죽어갔구나.

 

푸르름은 없으나~ 정신은 살아 있어~

오늘 자연을 노래하는 산객들에게

귀감이~~

 

         

                   ↑ 여송님이 포인트를 지정 해 주셨습니다.

 여송님!
큰형님 같으신 분이시죠!


따라 댕기면서 귀찮게 굴어야~~한수 배우지요.

아직 배우는 초등학생이라 제대로 나왔는지?

 여송님 좀 봐주세유??


 

 산은 꽤 거친 암릉과 오밀조밀한 산세로 우암 선생 이야기한 즐거움을 얼추 이해 할 만한데 
 필부의 눈에는 산의 품에 못지 않게 먼 시야가 눈맛을 더해 주었습니다.

 

   --------> 계속(마루금 편)

 

--------------------->입산에 이어 계속

 

멋진 모습들...

 

                      도락산은

          월악산과 소백산의 중간에 위치하고

 

                남쪽으로 해서 동쪽으로

                백두대간이 지나간다

  여름에 가도~ 가을에 가도, 겨울에 가더라도~여기 소낭구와 바위는 제자리에

   있을것입니다.

 만약 변한다면~ 산객의 마음이 겠지요~ ㅜㅜ


↓ 고인돌 바위! 갈길이 바쁜 시더라도 좀 쉬어가세요!

 

↓암릉과 형제 소낭구~저멀리 힘차게 솟아 오른 '채운봉'이 이채롭다

 

신선봉 주변은 멋진 암릉지역이고

맑은 날이었다면

조망이 참 좋은 곳이다

날만 좋았어도....^^

 

신선봉에 있는

바위웅덩이

 

↑이 못에는 예로부터 전설이 전하는 바,
처녀가 물을 퍼내면 이윽고 비가 내려 채우고 갈수를 해결하였답니다.


처녀로는 꼭 숫처녀여야만 한다 하니 그 의미까지는 모르겠네요
~~

 

 

▽  신선봉과 도락산 정상은 그냥 하나의 커다란 바위산으로 들어오고~~대슬랩이 아니라

    거대슬랩이다.

 

                     ↑  암릉과 소나무 그리고 파란 하늘로 어우러진 산, 도락산 전경입니다.

 

▽ 가파른 능선을 기다시피 내려와 돌아 본 하산길..... 오늘 사고로 인해 헬기에 실려간 산님은

   어떻게 되었는지?~ 크게 다치지 않았으면 좋으련만~

 

     ↓다리를 건너는 산님들 뒷모습이 여유롭습니다.

 

 ▽채운봉 정상에서 하늘을 보니~하얀구름 아래 눈이!!

 

↓눈보라와 구름속에 가려 보이지 않던 햇님이 가끔 모습을 드러내면 ~하늘을 처다본다

 

▽ 힘들게 내려서면 앞에 나타나는 또 하나의 암봉.. '채운봉'이다.???????

 

↓ 내궁기 능선쪽에 보이는 바위~~멀리서 보면서~가까이 가 본다는 희망을 안고...


  저기가 거긴가?   거기가 저긴가?~~뭔가 있다!~~다음산행 때나 가 보기를 약속하며~

 

 책바위가 말했다!

 멀리서 보고 오지는 마소!

 와서 보면 실망 할지도 모르니?

 

 실망해도 괜찮아유?

 책바위님!

 뭐! 책 잡힐 일있남?

 

------------------------------>하산편 계속

----------------------------------->하산편(종결)

 

신이 만들어 놓은 듯~
평풍을 펴 놓은 착각속에 빠질번한 풍광들!

 

누가 도락산을 한국의 100대 명산이라 했던가?

산꾼은 누가 뭐래도 10대 명산이라 해야 겠소.

 

어허! 아래 산 그림좀 보소!!!

여름에는 평풍을 펴고 겨울에는 오무린다는데~ 평풍을 모두 펴는 가을에 담을 그림을 남겨두고~

 

 

 

 

 

     진정 젖어 있는건(도락산 산행길에서)..


         온 산하 모두 촉촉히 젖어 있습니다.

         하늘마저도

         빗물 가득 품은 구름으로 젖어 있습니다.


         허공도

         안개 가득 품어 젖어 있습니다.


         계곡은

         젖은 안개 뭉실뭉실 토해 냅니다.


         숲과 바위들도

         안개비에 젖어 있습니다.

 

         나무는 가지 끝에 저마다

         맑은 구슬 하나씩 달고 젖어 있습니다.

 

         아! 그러나

         진정 젖어 있는 건 내 마음인가 봅니다.

 

         이슬같은 물방울

         하나 둘 가슴 속에  맺혀갑니다.

 

                                          < 도락산 산행 길에서 >....길상

 

도락산 산행길에 <길상>과 오랜만의 산행 이였습니다.

몇년전에 길상이 쓴 도락산 詩한수를 찾아 올림니다.

 

↑하산길에서 반대편에 보이는 멋진 바위

 

큰선바위~ 억! 엄청 크네여!

때마침~ 강풍에 눈보라까지

 

움직인다! 큰선바위가~ 강풍으로~ㅎㅎㅎ

 

 

  ▽ 또 다시 10여분 거리의 작은 선바위도 지나면~ 이제 상선암 마을로 들어서는 다리를 건넌다. 

      다리를 건너는 산객들의 발걸음이 가볍다.

 

          계곡은 가을 가뭄으로 말라 하얀 바위들만이 초라하게 산객을 배웅한다.

 

↓ 상선암 계곡물!

 

일상으로 되돌아 오는길!
버스속에서 본 일몰이 너무 아름다웠습니다.

 

장호원읍 공중에는 온통 붉은빛이 비치다가 이내 사라지더군요!

  ↑ 장호원에서 만난 일몰!

 

도락산!

이름만큼이나 멋지고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그런 산이 였습니다.


춘,하,추,동 올 때마다 다른 느낌을 주눈 山!

육산과 골산의 매력을 담뿍 담아
금방 잊지 않을 정도의 고생을 안겨주는가 하면

 

시원한 풍광과 조망으로 어루만져
달래주는 멋진 산 입니다.

 

겨울을 보내고 봄을 맞은 도락산으로의 산행,

나는 道는 아니더라도 즐거움은 찾은건지...

 

여하간 山이 거기 있고

가슴 따뜻한 울님들과 함께 산에 올랐기에

많이도 행복 했었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