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은 군대간 아들이 와서 서울구경을 했다.
서울시티투어를 해 볼까? 하는데 날씨도 춥고, 와이프와 아들이 가고싶은 곳
(뭐 가고싶은곳이라기 보다 전철역에서 가까운) 경복궁이랑 대학로를 댕겨왔다.
토요일은 군대간 아들이 와서 서울구경을 했습니다.
그냥 가기 심심해서 카메라를 메고~~ 경복궁 둘러본지도 30년쯤 된것 같지요.
경복궁은 조선왕조 개국 4년째인 1395년 개성에서 지금의 서울인 한양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하늘이 내린 큰 복"이라는 뜻으로 경복궁이라 이름지었다고 합니다..
정문인 광화문 남쪽으로 관청가인 육조거리(지금의 세종로)를 조성하고,
임진왜란으로 완전히 불타 없어진 후 제2의 궁궐인 창덕궁을 재건하여 정궁으로 삼았지만,
1868년에야 비로소 흥선대원군이 허약해진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 경복궁을 재건했다 합니다. 고대 중국의 예법을 조선 왕실의 전통이나 현실과 조화시켜,
재건 경복궁은 14만 평의 광활한 대지에 약 330여 동의 건물을 지어 하나의 작은 도시를 이루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85%에 달하는 건물들이 철거되어 중심부의 건물들만 남았고,
1990년부터 복원사업이 꾸준히 진행되어 총독부 청사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원래의 흥례문과 행각을 복원했고,
경복궁 입구에 도착하자 때마춰 거행되고 있는 '수문장 교대식'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은 오전 10시부터 오후4시까지 매시 정각에 홍례문 앞에서 재현되며
언제나 근엄한 위용을 자랑하는 국보223호 '근정전' 근정문을 지나면 조선시대 정궁인 경복궁 근정전 입니다
언제나 근엄한 위용을 자랑하는 국보223호 '근정전'
경복궁 사정전 왕이 고위직 신하들과 일상업무를 보던 편전이다
마눌님과 아들이 궁궐옷을 입고~ 아들은 따라하기 싫은 표정~ㅋㅋ
경회루 입구 왼쪽 건물 훈민정음을 창제한 수정전
경회루
강녕전
금방 궁녀들이 나올것 같은 느낌~~
경회루
아미산의 굴뚝
몸체에 조각된 무늬는 상징적 의미를 갖구요.
수백년전의 숨소리를 눈감아 귀 기울려 봅니다.
<"이곳에 올릴 이미지 링크" border=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