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오는 새재골>
 

      "하늘을 나는 새도 한번에 넘지 못하고 쉬었다 간다"는 전설의 고개 '문경새재'


      험준하기 이를데 없어 해방전까지만 해도 "호랑이가 나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군사적 요충지이며, 선비들이 과거를 보려면 이 길을 지나가야 한다 더군요

   -----------------------------------------------------------------------------------

凌晨登鳥嶺 / 春意正
北望君臣隔 / 南來母子同

 

새벽을 무릅쓰고 새재에 오르니
봄뜻이 참으로 자욱히 어리는구나


북을 바라보니 임금과 신하가 멀어졌고
남으로 와서 어머니와 아들이 어울리네
============================================= 


   조선조 성종때 유호인(兪好仁)이 지은 한시 ‘등조령(登鳥嶺)’의 일부 입니다.
   ‘조령(鳥嶺)’은 문경새재의 다른 이름으로


   노모를 모시기 위해 지방 근무를 자청해 내려오는 길에
   새재에 서서 임금이 계신 한양과


  고향을 번갈아 돌아보며 충과 효 사이에서
   갈등하는 복잡한 심정을 읊고 있습니다.
 


 ++++++++++++++++++++++++++++++++++++++++++++++++++++++++ 

 ↓ 나는 새도 쉬어간다는 이곳 문경새재 길.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문경새재는 포장되지 않은 국내 유일의 흙길 입니다. 
      1관에서 3관까지 6.3km 되는 전 구간이 흙길로 남아있는데~

 

      길옆에 흐르는 수로에 흐르는 물살이 예사롭지가 않습니다. 
      여기 흐르는 물도 억겁의 세월을 두고 계속 되리라.

 

 

      역사적인 의미가 있고, 걷고 싶은 아름다운 길 중

      으뜸이라 하여 언젠가 주흘산에 가면 걸어보리라~~


      오늘은 산꾼이  그 옛날 과거길에 나섰던 선비가 되어

     장원급제 길을 걸어 봅나다.

 

   
+++++++++++++++++++++++++++++++++++++

 

↓ 제2관문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2관문을 조선시대로 되돌려 보았습니다.

     누군가 망루위에서

 

     진격하라~화살을 쏴라~~

     소리가 들리는 듯

  

***********++++++++++++++++++++++++++++++++++++++++++        
↓조곡폭포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왼편에 있는 조곡 폭포는 3단으로 제법 낙차가 큽니다
   길옆 산위에서 내려와 난 인공 폭폰가 했더니

 

   천연 폭포라니
   어느 골에서 내려오는 물일까?

 

 

++++++++++++++++++

↓아름다운 계곡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산모퉁이 돌아가는 길에
     작은 다리를 건너서 계곡의 물 흘러가는 것을 바라보며
     잠시 거친 숨을 거두어들이고~~

 

*************

↓꿀꾸리 바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꾸구리바위?
      이름도 요상하다. 꾸구리 라는 물고기가 살았는데
      그놈이 바위밑에서  요동치면 바위가 들썩였다하고

 

      송아지도 한입에 삼켰다는데~~~
      하여간 바위밑에 물은 깊고 깨끗함니다

 

********************************

↓용추계곡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山은 빗방울을 머금어

    계곡물을 토해내고


   쉬임없이 흘러내리는

    물줄기와 물보라들


   한참동안의 물 흘러내림을 바라보며
  다시 길을 나서고~~

 

+++++++++++++++++++++++++++
↓교귀정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교귀정

   조선시대 임금으로부터 명을 받은 신.구 경상 감사가

   인계인수 하던 교인처~

 

   老松은 정각을 감싸고~

   밀려오는 개발~

 환경파괴를 온몸으로 막는듯

 

 

+++++++++++++++++++++++++++++++++++

↓왕건 촬영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왕건촬영지~

    왕건주(막걸리) 한잔하고 나니

 

    궁궐이 더 멋있어 보이네요.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궁궐 앞에 저작거리~아니고요

 

   요즘 서울의 강남수준인

   대감들이 사는 동네 ~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맑게 흘러 내려가는 물줄기를 따라서

 길 숲을 걷고


아쉬움의 풍경과 풍광을 뒤로 한 체
산의 품속을 벗어납니다.

 

+ Recent posts